sign in board
No. Title Authors Journal
101 When archaeology meet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고고학과 차세대염기서열분석기술과의 만남) 66. Park C 한강고고 (2021) 15(): 65-82
Abstract
Since the term“ancient DNA”(aDNA) was first coined in the early 1980s to define DNA fragments found in a number of preserved or fossilized biological materials, paleogenomics and archaeogenomics have let to considerable progres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PCR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Now, genome-scale aDNA data have been gathered from thousand of ancient archaelogical specimens, including mineralized tissues (e.g., bones and teeth), hair shafts, charred and waterlogged plants, environmental archives. However, wha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s how the amplified aDNA is authentic because of its suffering from degradation, contamination, postmortem based modification. In this study, starting with a chronological perspective, I introduce the aDNA studies and discuss some emerging research trends including PCR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in aDNA research.


[국문초록]
1980년 초반 고DNA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후, 고고학과 고생물학분야에서 분자생물학의 연구 혁명을 촉발시킨 DNA 분석기술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중합효소연쇄반응기술과 차 세대염기서열분석기술의 도입은 고DNA 연구의 급격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였다. 최근 20년 동안, 멸종 된 맘모스와 네엔데르탈인의 고유전체를 포함하여, 탄화된 씨, 화석화된 나무, 식물 표 본첩의 고DNA 및 고대 침전물의 환경DNA 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고DNA가 이용 되고 있다. 하지 만, 국내에서는 인골 이외에는 시도된 사례가 없는 연구 분야로, 본 논문에서는 분자생물학 관점 의 고DNA 특징과 함께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차세대염기서열분석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고 고학과 고생물학 연구 분야 별 고DNA 분석 방법론과 결과해석 방향에 대해 최신 연구동향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